자동차세 자동이체 신청 방법, 정부24에서 5분 만에 끝내는 법 (2025 정리)

매년 6월, 12월이 되면 자동차세 납부 알림 문자가 옵니다.
저도 예전엔 그때마다 깜짝 놀라며 납부하곤 했는데요, 올해부터는 정부24를 통해 자동이체를 신청해봤어요.
실제로 해보니 생각보다 간단하고, 앞으로 연체 걱정 없이 지낼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늘은 저처럼 자동차세를 자동이체로 전환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정부24 신청 절차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왜 자동차세 자동이체를 설정해야 할까?

  1. 납부 시기를 놓치면 가산금이 붙습니다 (약 3%).
  2. 자동이체 설정 시, 제때 납부되어 연체 걱정이 없습니다.
  3. 일부 카드의 경우 포인트 적립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예: 현대카드, 우리카드 등)
  4. 세액 공제 혜택이 있습니다. (지역별 차이 있음)

정부24 또는 ETAX에서 신청하는 방법 (지역별 신청 기준)

🚨 신청 경로는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 서울시 등록 차량: ETAX 서울시 이택스에서 신청
  • 서울 외 지역 차량: 정부24 또는 위택스를 통해 신청 가능

정부24 > 지방세 자동이체 신청 메뉴 화면 (2025년 4월 기준)

자동차세 자동이체

아래 표는 서울 외 지역 기준입니다. 서울시는 ETAX에서 동일한 항목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계설명
1정부24 접속 → ‘지방세 자동이체’ 검색 및 이동
2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3자동이체 항목(자동차세) 선택
3본인 차량 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
4자동이체를 원하는 은행 또는 카드사 선택
5신청 완료 후 문자 또는 이메일로 확인 가능

저는 모바일과 PC를 모두 확인해봤는데, 아무래도 PC가 화면이 넓고 입력이 편했습니다.

하지만 모바일에서도 충분히 신청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합니다.

신청할 때 주의할 점 체크리스트

  1. 차량 명의자 본인만 신청 가능합니다
  2. 일부 카드 자동이체 시 납부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자동이체가 자동 갱신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다음 해 문자 꼭 확인
  4. 신청 완료 후 문자나 이메일 수신 여부로 등록 여부 확인
  5. 법인 차량은 자동이체 대상이 아닐 수 있음

정리하면,

  • 정부24에서 5분이면 자동차세 자동이체 신청 완료
  • 연체 방지 + 세액 공제 혜택
  • 카드 납부 혜택
  • 모바일, PC 신청 가능
  • 신청 후 문자/이메일 확인 필수

👉 다음 글: 자동차세 미리 내면 얼마나 할인될까?

본 글은 2025년 4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제 신청 화면은 시기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